적패, 적폐 올바른 단어는? 헷갈리지 않는 법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단어중에 적폐가 있습니다. 적폐청산인데 적패청산으로 헷갈려서 쓰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심지어 이 단어는 기자들마저도 헷갈리게 할 정도인데 두 단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패 뜻

우선 적패는 없는 단어가 아닙니다. 그러니 이는 맞춤법이 틀렸다 할 수 없고 단어를 잘못 선택했다라는 것이 좀 더 맞을 것입니다. 

 

적패의 뜻은 몹시 지쳐 있어 실패나 패배를 거듭한다를 뜻하거나 도둑들의 무리(도 거리)를 뜻합니다. 즉 이런 뜻으로 사용을 한다고 가정할 때, 적패청산이라고 해버리면 "도둑의 무리를 없애버린다." 혹은 "실패나 패배를 없애버린다"라는 뜻이 되어버립니다. 

 

이렇게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없겠지만, 한자이기 때문에 틀린 단어라고 보기에는 좀 어려워 보이긴 하죠. 하지만 우리가 이런 의도로 말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 아니기에 의도와 맞는 단어는 적폐가 맞습니다.

 

적폐 뜻

그러나 우리는 너무 지쳐있다는 의미로 쓰질 않을테니 이제부터 많이 사용되는 적폐에 대해서 한자 뜻을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적폐의 한자는 쌓을 적(積), 폐단 폐(弊) 입니다. 한마디로 폐단이 쌓였다라는 뜻이 되는 것이죠. 적폐랑 적패가 헷갈린다면 이와 같이 한자를 생각하면 될텐데요. 폐단을 패단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럴땐 폐단 이라는 한자를 집중하면 되겠네요

 

확실하게 헷갈리지 않기

저는 타이핑을 할 때 가장 많이 조심하는 것이 "돼"입니다. 이럴 땐 입으로 "되어"로 할 때 의미가 맞는지를 체크해보는 것이죠. 적패와 적폐가 마찬가지로 계속 헷갈린다면 적패라는 단어에 한 단어를 연상하면 됩니다.

 

적패 = 도적패거리

 

위와 같이 적패가 헷갈리면 도적패거리라는 단어를 연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도적 패거리를 도적 폐거리라고 하지 않으니 이렇게 도적과 적패를 묶어서 생각하시면 적폐와 적패를 헷갈리지 않을 것 같네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