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거핀(MacGuffin)이라는 단어는 영화를 좋아한다면 매우 잘 아는 단어일테고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분명 들어본적은 있을 것입니다. 어떤 영화는 맥거핀이 강력한 영화다라고도 하는데 맥거핀의 뜻은 무엇이고, 맥거핀으로 대표되는 영화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거핀 의미 맥거핀이란 용어는 마찬가지로 맥거핀을 아주 잘 활용하던 세기의 영화감독으로 꼽히는 알프레드 히치콕으로 부터 유래되었습니다. 그는 프랑수와 트뤼포와의 대담에서 맥거핀에 관련된 이야기를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스코틀랜드행 열차를 타고 가는데 한 사람이 선반 위에서 어떤 물건을 발견하였다. A: 선반 위의 저것은 무엇인가요? B: 저것은 맥거핀이라고 합니다. A: 맥거핀이요? 맥거핀은 무엇이죠? B: 스코틀랜드 고지대에 있는 사자를 ..
에티켓(etiquette)과 매너(manner)는 일반인들이 알기에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한가지만 알면 둘의 차이는 쉽게 파악을 할 수 있다. 에티켓(Etiquette) 에티켓의 역사는 어원대로 프랑스로부터 생겨난 것으로 프랑스어 ‘estiquer(붙이다)’에서 유래되었다. 옛날 프랑스 왕궁에서 예식을 치를 때 궁정인이나 각 나라 대사의 주요 순위를 정해서 절차를 정한 뒤, 그 내용을 적은 티켓을 나누어 주었는데 이 티켓이 훗날 ‘에티켓’이 되었다고 한다.[1] 에티켓은 우리가 남들과 지내기 위해서 지켜야 할 예의(다만 예의가 곧 에티켓은 아니다)라 생각하면 된다. 에티켓은 법으로 정해져 있지 않지만, 암묵적으로 지켜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에티켓은 지킨다 안지킨다 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에..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블루스택(Bluestacks)과 녹스(NOX)를 꼽을 수 있는데 초창기 때에는 한국에서도 블루스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녹스의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블루스택을 능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아직까지 전세계 점유율은 블루스택(5억명)이다. 한국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블루스택보다 녹스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한국 친화적인 서비스부터 유독 한국인 유저들이 좋아하는 게임(자동 사냥) 등을 자동으로 돌릴 때 녹스가 우위이기 때문이기에 녹스를 많이 사용하는 것일지 모르겠다. 다만 사용하면 할수록 녹스보다 블루스택이 더 좋다는 것은 블루스택이 더 전문적이고,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이 맞을 것이다. 무튼 이 포스팅은 녹스에 다뤘기 블루스택과의 비교는 제쳐주고..
사업자 등록번호가 유의미한 것인지 조회하거나 혹은 사업자등록번호만 알고 회사의 정보를 모를 경우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기업 상태 조회, 홈택스 (Hometax) 홈택스는 국세청에서 만든 세금이나 사업자 등록 등을 제공해주는 사이트로 다양한 민원등을 처리해 줍니다. 여기서는 사업자번호로 기업이 현재 휴업인지 정상 영업인지 등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홈택스로 바로 가고 싶을 경우 최하단의 참고자료[1]에서 이동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홈택스에 접속하여, 조회/발급 -> 사업자 상태 -> 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를 선택합니다. 원하는 사업자등록번호(위 예시는 네이버입니다)를 입력하면 사업자 등록상태가 뜨게 됩니다. 기업 정보 조회, K..
우리가 과일을 사먹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 해도 머니(Money)일 것이다. 어쩔땐 무슨 과일이 고기값보다 비싸?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인데 보통 이런 경우, 가장 쌀 때 즉 제철에 과일을 사지 않기 때문이다. 제철과일의 장점 제철과일의 장점은 다양한데 그 중 요약을 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제철이 아닌 과일보다 영양소가 더 많다(ex: 비타민) 제철에는 많은 양이 생산되기에 값이 더 싸고, 싱싱하며 색이 좋아 먹음직 스럽다 제철과일은 계절별 필요한 영양분 공급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수박의 경우 여름에 땀으로 필요한 수분을 보충하기 좋다. 제철과일 종류(제철과일 표) 계절 과일 봄 앵두, 딸기, 방울토마토, 키위, 청견 여름 참외, 수박, 자두, 살구, 복숭아, 토마토, 아오리사과, 메론, 포..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저승사자라고 하면 갓을 쓰고, 창백한 모습에 검정색 도포를 입은 이미지일 것이다. 그러나 이 저승사자를 봤다면, 당신은 착각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저승사자는 바로 상상으로 만든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정확한 워딩은 저승사자 자체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이 생각하는 저승사자의 모습은 창조 되었다는 것이다. 이 이미지를 만든 분은 KBS 전설의 고향을 만든 최상식 PD님이다. 이 분은 방송에서 임팩트를 주기 위해서 죽음의 이미지를 만들어보자 생각하였고, 그 결과 우리가 생각하는 저승사자 이미지(까만 도포, 창백한 얼굴, 갓)를 생각해 낸 분이다. 그러니 우리가 저승사자를 봤다거나 혹은 주변에서 그런 소리를 들으면 이는 착각이나 혹은 저승사자가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미지..
얼마전에 청소기를 돌리다가, 스탠드를 쓰러뜨려 전구가 깨져버렸다. 한참 동안은 스탠드를 쓰지 않고 냅두고 있었기에 무시하고 지냈는데 최근에 옷방으로 변신했던 서재방을 다시 사용하게 되면서 스탠드를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오래전에 산 제품이다보니 스탠드 정보도 유실되었고, 어떤 전구를 사야 될지 막막해서 보고 있던 찰나... 스탠드 안쪽에 전구의 정보도 담겨져 있는 것 같아서 검색해보니 내 생각이 맞았다. 나머지 내용들은 대충 알겠는데 E14라는 말은 처음 봐서 왠지 전구 규격이라 생각했는데 생각이 맞았다. 전구 소켓 전구 소켓은 위와 같은 규격들이 있는데 내 스탠드의 전구는 E14로 소켓 지름이 14mm라는 것이고, 보통 장식용으로 많이 쓰는 전구였으며 보통 집에서 쓰는 규격은 E26으로 지름 2.6c..
설거지를 했던건지 아니면, 언젠지 기억이 안나는데 모르고 엉덩이로 세탁기의 버튼을 눌렀었다. 그러다보니 세탁기에 다음과 같이 CL에러가 발생하였는데 세탁기가 열리지 않아서, 전원을 꺼봤지만 반응이 없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CL이라는 것은 애들이 건드리지 못하게 잠금을 한다는 것이다. 즉, CL은 Child Lock의 약자였다. LG고객지원 센터를 보니, 잠금 장치 마크가 된 버튼을 2개 동시에 눌르라[1]고 나왔다. 근데 내 세탁기는 세탁과 헹굼에 위와 같이 잠금 마크가 되어 있지 않았다. 자세히보니 버튼안에 있지 않고, 표시판 옆에 온수헹굼, 애벌세탁 옆에 잠금 버튼이 있었다. 여태까지 이 2개가 버튼으로 작동이 된다는 세탁을 알지 못했는데 이번기회에 다른 버튼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무튼..
최근에는 좀 사그러 들었지만, 한동안 한국 음악계에는 시티팝 바람이 거세게 불었다. 나 역시 시티팝을 즐겨듣고 있었고, 사실 지금도 즐겨듣고 있다. 시티팝 음악을 듣고 있으면 뭔가 긍정적인 사람이 되는 것 같으면서도 미래가 환할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사실 이 장르를 만든 일본은 시티팝이 흥한 이후, 잃어버린 30~40년을 겪으면서 쇠퇴받고 있는 저주 받은 장르일수도 있지만 말이다. 사실 한국 역시 일본과 유사하게 시티팝 장르가 있었다. 사실 시티팝이라고 하는 것은 미국의 재즈의 변형이기 때문에 한국 역시 변형된 재즈로 유사한 음악들이 종종 있었다. 특히 90년대의 경우 한국 역시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였기 때문에 일본의 시티팝의 맥락과 유사할지 모르겠다. 시티팝 장르 구분 시티팝의 장르를 ..
현대 카드(MX Black)이 너무 이뻐서 변경을 하였고, 현대 카드의 정보들을 갱신하기 위해서 유튜브에 결제정보를 바꾸려고 하는데 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자꾸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습니다"라고 떴다. 현상 캡쳐 이런 문제가 나만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아서 원인을 찾아본 결과 유튜브에서 하면 안되고, 다른 곳에서 결제 수단을 변경해야 됐다. 원인 유튜브(Youtube)는 구글(Google)의 자회사이고, 구글의 모든 결제는 구글 플레이(Google Play)에서 관리를 하는 것으로 보였다. 즉 유튜브에서 카드 결제 정보를 수정한다고 해서 이 내용이 구글 플레이에 갱신이 되는 것이 아니다보니, 카드의 등록은 구글 플레이에서 해야 한다. https://play.google.com/store/games 위 구글..
그동안 네이버마이박스(구 nDrive)에 사진들을 올리고 있을때마다 몇몇 사진들이 실패를 했었지만 그때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 등산 사진을 올리는 중 무려 35개중 15개가 실패를 해서 이게 대체 머선129 싶어 원인을 찾아보았다. 전송 실패 15개의 압박감에 원인을 구글링한 결과 내 아이폰이 icloud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사진이 폰에 있지 않고 icloud에 분산 저장이 된 것 같았다. (아니 그렇다면 WiFi 안되는 곳에서 사진 볼때마다 데이터요금이 나간것인가?) 아무튼 원인을 찾은 것 같으니 설정을 변경하도록 한다. icloud 사진 세팅 아이폰의 설정화면으로 들어간 후, 최상단에 있는 내 애플 아이디(Apple Id)를 선택한다 Apple ID 설정란에 들어갔으면 결제..
아마 살면서 한번쯤은 경험해봤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월의 막바지나 시작이 되었을 때 어떻게 잡아야 할지 참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문서 등을 쓰게 될 경우, 몇월 몇주차를 쓰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제 주변 사람들은 이 기준을 아직도 몰라서 잘못 쓰는 분들이 상당히 많더군요. 그래서 기준을 잡는 포스팅을 쓰게 되었습니다. 첫번째 주의 기준 우선 이것부터 잡고 시작해야 합니다. 주초는 월요일인가? 일요일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한민국은 ISO 표준을 기준으로 주초는 월요일로 책정하고 있습니다. 주초가 일요일인줄 아셨던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고 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선 읽으시고 하단의 링크를 보셔도 됩니다) 한주의 시작, 월요일? 일요일? 이제 주초가 월요일로 이해를 하셨다면 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